Cloud
2 posts
AWS - jammy InRelease & 101 Network is unreachable 해결하기

AWS - jammy InRelease & 101: Network is unreachable jammy InRelease 오류 카프카 브로커 Ubuntu 서버에 java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뜨면서 동작이 되지 않았다. 무슨 jammy가 inrelease된 것 같은데 재미 하나도 없고 머리 아프다 다행히도 해당 에러에 대해서는 AWS측에서 답변 달아준 부분 있다. 공식 해결 방법 대충 해석을 보면 아래의 포인트들을 다시 체크해봐라 같은데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EC2가 제대로 작동하는 다른 EC2들과 동일한 VPC 및 서브넷에 배포되었는가? 그게 아니라면 VPC가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인터넷에 접근이 허용되어 있는가? 서브넷이 public이라면 인터넷 바운드 트레픽을 인터넷 게이트 웨이로 라우팅하는 라우팅 테이블이 있는가? 서브넷이 private이라면 인터넷 바운드 트래픽을 공용 서브넷의 NAT 게이트 위에이로 라우팅하는 라우팅 테이블이 있는가? 체크리스트…

AWS NAT instance를 활용한 비용절약

NAT 인프라 이번에 실시간 따릉이 대시보드 제작 프로젝트에 데이터 엔지니어 및 인프라로 참여하게 되었다. 협업 및 배포의 용이성 때문에 클라우드를 이용하기로 결정이 났고 AWS에 EC2에 카프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프로듀서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AWS를 이용한 협업은 처음이기에 세세하게 사전조사를 했는데 첫째로 알게 된 사실은 AWS에서 네트워크를 설계할때 NAT의 사용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보안상 카프카 클러스터 서버들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게 해야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VPC 인프라를 구축할때 Public 서브넷과 Private 서브넷을 만들어 그안에 EC2 인스턴스를 두고, Bastion Host를 통해 Public 서브넷에서 Priavate 서브넷으로 접속한 후, NAT Gateway를 통해서 외부 인터넷 소스를 사설망에서 받는 식으로 운용된다. 그만큼 중요한 것으로 당연히 AWS에도 관련 서비스인 NAT Gateway가 존재하고 그것을 이용해서 손쉽게 사설망 …